Docker+Nginx를 활용한 Application Proxy 구조
기존에 도커를 활용하지 않던 서비스의 서버를 이관해야하는 상황이 생겨서 기회삼아 도커를 활용한 Proxy 구조를 구축하기로 하고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복잡한 과정은 제외하고 간단히 어떤 방식으로 Docker와 서비스 간의 Proxy 구조를 구축했는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기존에 도커를 활용하지 않던 서비스의 서버를 이관해야하는 상황이 생겨서 기회삼아 도커를 활용한 Proxy 구조를 구축하기로 하고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복잡한 과정은 제외하고 간단히 어떤 방식으로 Docker와 서비스 간의 Proxy 구조를 구축했는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도커 설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curl이 설치되어있다는 가정 하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주시면 된다.
Dockerfile을 작성하고 빌드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를 만나 해결한 방법을 적어본다.
Docker Hub를 통해서 먼저 pull 받을 mongo 목록을 찾은 후 간단하게 해당 목록에서 제공하는 pull 명령어를 사용하자.
서비스의 아키텍쳐는 어느 정도 정해진 틀에서 개인의 역량과 프로젝트 성향에 맞춰 유기적으로 변하는 생물 같은 개념이다.
웹팩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나 이상의 진입점을 기준으로 종속성을 가지는 모듈들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번들 파일로 묶어주는 도구이다. 간단한 웹팩 설정을 구현해보면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최근에 진행한 프로젝트 중 기존의 vue 프로젝트에 pages 컴포넌트를 하나 만들고 그 안에 iframe을 활용하여 다른 nuxtjs의 앱을 띄워서 제어하는 개발을 진행했다.
자바스크립트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 변수 선언문을 미리 실행해두어 참조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변수 호이스팅이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스코프란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로 구분 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는 var, let, const가 있다.
mongoimport --host host --port port --username username --password 'password' --authenticationDatabase admin --db databasename --collection collection --type...